1. 가로수길도 공실이 넘쳐난다. 가로수길 40% 공실률 기록.
→ 온라인 상업 증가, 주변 상권과 다를 게 없는 특색없는 거리에서 임대료만 비싸짐,
강남권 아파트도 단지내 상가 공실 많고, 초대형 리테일 유통업체 들어오면 주변 상가 활성화 안됨,
코스트코나 스타필드가 들어서면 주변 근처 신도시 분양 상가가 안됨
일산의 라페스타와 웨스턴돔은 시설 노후화와 스타필드 고양이 생겨서 공실이 더 높아짐
메디컬 매출은 점점 늘어나고 소매 매출은 점점 줄어들고 있음
전국 상가 공실률이 늘고 있음
2. 애플 아이폰 인도 생산비중 점점 늘려 20%로 확대
미중 관세전쟁에 관세 낮은 인도에 집중하고 고급모델 아이폰 16프로와 16프로 맥스도 생산하기 시작했다.
3. 우리금융이 동양, ABL생명을 인수하면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갖춰가고 있다
4대금융지주 (국민 신한 하나 우리)의 경쟁이 심화될 것이다.
현재 2024년은 국민이 당기순이익 1등이었다. 국민과 신한이 1 2위를 다투고
그 다음이 하나 그 다음이 우리은행이다.
4.
YES24에서 YESAI를 공개한다고 한다.
책 추천은 물론이고 책에 대한 질문하며 ㄴ대답도 해주는 튜터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한다
5. LG는 미국 시장에서 계속 영향력을 펼치고 있다. 세계 1위 가전시장인 미국에서 현지화를 통해
과세 부과 압박에서도 벗어나고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실제로 미국 생활가전 시장에서 LG전자는 21.1% 점유율로 1위를 지켰다.
6. 추론형 AI 급성장
AI에도 많은 성격이 있고 그에 따라 다른 모델을 써야 하는데 추론 모델이 급성장하고 있다.
고난도 AI 모델 성능 테스트를 하고 있고 성능 평가비용도 굉장히 비싸다고 알려져 있다.
7.
K제약은 점점 시장이 커지고 직원 수도 많아지고
채용시장도 활발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이 23% 증가하면서 국내 제약 바이오 업계 최초로
4조클럽에 등극하게 되었다.
각 기업의 신약 개발 전략을 위해 석박사급 연구직 채용이 많아졌고
전문인력 비율을 늘리고 있다.
8. 아이소이 성분 좋다
9. 한섬 고객 평균연령이 확 낮아져 30대 됐다.
그러고보니 나한테도 40대 이미지였는데 이제 좀 영하고 고급스러운
20대 후반 30대 중반 느낌이 많이 난다.
10.통신사 SKT, KT 시총 순위 오르락내리락 바뀌고 있다.
올해 초 처음으로 KT가 SKT의 시가총액을 제쳤다.
'돈 공부 > 경제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인지능력 만점 받음 ㄷㄷ 똑똑함 (1) | 2025.04.15 |
---|---|
AI가 수익률도 더 잘 내는 시대, 퇴직연금 맡기자 (0) | 2025.04.15 |
현대차 → 미국에 31조 투자, 관세 전략 먹히나? (0) | 2025.03.27 |
신용카드 쓰면 안되는 사람들 (0) | 2025.03.22 |
[강남3구 용산구 토허제] 부동산 정책의 신뢰성 (0) | 2025.03.21 |